본문 바로가기
스마트스토어/제품 리스팅 관련

스마트스토어 SEO가 존재한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by Applegi 2020. 9. 23.

스마트스토어 SEO

스마트스토어에 SEO가 존재한다??

스마트 스토어 판매자들 사이에서는 SEO 괴담이 실체는 없고 구전으로 전해지는 내용과 의혹들이 끊이질 않아 종결해드리려 합니다.

Q: 혹시 상세페이지들 어떻게 구성 하시나요? 스팜은 예전부터 이미지와 텍스트를 혼합하여 사용하길 권장하고 여러 타사이트들도 그러한 방식을 따라가는데 정말 seo측면에서 효과 가 있을까요?

A: 검색엔진 최적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가 궁금하셨군요?

네이버 쇼핑에서는 검색엔진 최적화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아직 SEO라는 단어를 쓰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검색엔진 최적화란 웹페이지를 검색엔진이 자료를 수집(크롤링)하여 등록(인덱스)하는 과정중 노출에 대한 순위와 등급을 나누어 분류를 하는데요. 어떻게 보면 이런 작업은 세계적인 검색엔진 구글에서 통용되는 말이라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네이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자체의 본질이 웹 최적화에 취약하다고 말씀을 드릴 수 있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스마트 스토어 각 페이지의 메타태그가 NOINDEX, NOFOLLOW 이는 색인을 생성하지도 타사의 로봇이 들어오지도 말라는 의미입니다. 그말은 즉 네이버는 외딴섬이니 전세계와의 연결을 거부하겠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2. 네이버는 그간 폐쇄적인 정책을 쭈욱 유지해 왔고, 네이버 블로그는 그나마 최근들어 구글 검색엔진에 노출이 되곤 했습니다. 그말은 즉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는 오직 네이버라는 큰 섬에서 밖에 나가지말고 있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있습니다. 이 정책도 언젠가는 풀리겠지만 그 언젠가는을 가늠할 수없습니다.
  3. 이럴때 카카오티스토리의 서브도메인을 애드센스승인을 잘 받을 수 있도록, (비)공개적으로 처리한 것과 같이, 카카오 톡스토어등이 구글이나 기타 검색엔진 노출에 활발히 된다면, SEO 적인 측면을 생각해서 카카오쪽으로도 공을 들이는 판매자들이 늘어날것이라 생각됩니다.
  4. 최소한의 지옥베이(지마켓,옥션)와 같이 구글정도의 큰 플랫폼에서 검색이 되도록 허용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판매의 기본은 노출인데 외부 검색엔진 노출을 막는다?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십니까?
  5. 이쯤에서 까는건 그만하고요, (제품리스팅 홍보 제목, 제품 리스팅할때 해시태그, 올바른 브랜드와 제품 상세정보 매칭) 이정도 기본을 지키시는게 지금까지의 네이버 SEO 최적화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썸네일과 기타 동영상들은 네이버의 가이드라인 크기, 재생시간 맞춰서 작업하시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말 그대로 네이버 SEO 는 색인에 조금 영향을 주겠다는 의미이지 그것에 치중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단, 아예 신경안쓰시고 예를 들어 양말을 파는데 해시태그는 #모자 이런식으로 기재를 하는 오류를 범하지 마시라는 의미입니다.

그럼 스토어팜에 SEO가 존재하는지에대한 궁금증에 대한 해소 가 되었기를 바라며, 좋은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매하는것에 더욱 집중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